개발 관련 책 읽기/테스트 주도 개발(3)
-
Chap 02. TDD 시작
목표 : 먼저 TDD에 대한 개념과 프로세스를 이해해보자. TDD란 테스트 주도 개발(Test-Driven Development, TDD)은 매우 짧은 개발 사이클 반복하는 개발 방법 중의 하나이다. 미국의 S/W 개발자이자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창시자인 Kent Beck이라는 분이 창시한 개발 방법론이다. 먼저, 요구사항을 검증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 후, 그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할만큼 코드를 생성 후 마지막으로 리팩토링을 하는 방식이다. TDD 이전의 개발 방식 1. 기능에 대한 분석 및 설계 2. 기능 구현 3. 구현 코드에 대한 테스트 및 디버깅 TDD전의 개발방식은 한 번에 작성한 코드가 많을수록 테스트와 디버깅하는 시간에 대해 길어져서 비효율적인 시간낭비가 생기게 되었다. TDD 개발 방식 1..
2022.07.20 -
Chap 01. TDD 준비
목표 : 테스트에 대해서 이해하자 테스트란? 테스트는 어떤 동작을 실행했을 때, 기대했던 형태로 동작해서 결괏값이 나오는지, 원하는 동작을 연계해서 수행하는지 등의 확인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테스트를 해야 하는 이유 1. 개발 시간을 줄여준다 -> 테스트 코드를 통해 테스트를 진행 함으로써 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문제점에 대해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2. 빠른 시간 내의 코드 동작 방식과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3. 리팩토링을 안심하고 할 수 있다 그 외 테스트를 해야 하는 이유는 무궁무진하다.. 좋은 테스트를 하기 위한 5가지 방법(FIRST) 1. FAST : 테스트는 빠르게 동작하여 자주 돌릴 수 있어야 한다 2. Independent : 각각의 테스트는 독립적이며 서로 의존..
2022.07.20 -
테스트 주도 개발 시작하기
실무를 하면서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에 대해서 인지하게 되었다. 테스트 코드를 얼마나 잘 짜고 활용하냐에 따라 내가 짠 코드의 안정성이 올라가고 버그가 낮은 코드가 생기는 것을 느꼈디. 그래서 테스트 그리고 TDD에 대해서 공부하고 싶어서 아래 책을 구매하게 되었다. 같이 TDD에 대해서 공부해봅시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16267566 테스트 주도 개발 시작하기 작동하는 깔끔한 코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습관- JUNIT 5를 이용한 테스트 주도 개발 안내- 테스트 작성과 설계를 위한 대역- 테스트 가능한 설계 방법 안내- 유지보수하기 좋은 테스트 작성법 book.naver.com
202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