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235)
-
1.스프링 배치 소개 및 프로젝트 구성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스프링 배치 탄생 배경 - 배치 핵심 패턴 - 배치 시나리오 - 배치 프로젝트 구성 - 배치 초기화 설정 클래스 실무에서 Spring Batch를 사용할 일이 생겨서 스프링 배치 공부하려고 인프런에서 아래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B%B0%B0%EC%B9%98/dashboard 그래서 제가 다시 보기 위해 정리하려고 시리즈 글을 쓸려고 합니다. 😁😁(혹시나 Batch 공부하실 분들은 위 강의 추천합니다! ) 스프링 배치 탄생 배경 - 자바 기반 표준 배치 기술 부재 - 배치 처리에서 요구하는 재사용 가능한 자바 기반 배치 아키텍처 표준의 필요성 대두 - 스프..
2022.09.27 -
Chapter 6 - 스트림으로 데이터 수집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Collectors 클래스로 컬렉션을 만들고 사용하기 - 하나의 값으로 데이터 스트림 리듀스하기 - 특별한 리듀싱 요약 연산 - 데이터 그룹화와 분할 - 자신만의 커스텀 컬렉션 개발 모든 실습 내용은 깃허브(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 https://github.com/underdarks/ModernJavaInAction-TIL/tree/main/src/test/java/modernjavainaction/practice 컬렉터란 무엇인가? 컬렉터(Collector) 인터페이스 구현은 스트림의 요소를 어떤 식으로 도출할지 지정한다. 예를들어, toList()를 사용하면 각 요소를 리스트로 만들어라는 의미로 사용가능하다. collect를 호출하면 컬렉..
2022.09.25 -
datagrip aws rds 연결 시 스키마 안뜨는 현상
환경 및 현상 - Driver : Amazon Aurora MySQL3.0.7 - db: aws rds(mysql) -> datagrip에서 db접속 후 스키마가 안뜨는 현상 발생 원인 및 해결 -> mysql driver 3.0.7이 문제가 있었음 -> 3.0.7 -> 2.7.3 으로 버전 변경 후 다시 재접속하면 스키마가 정상적으로 잘뜸. 참고자료 https://youtrack.jetbrains.com/issue/DBE-16376
2022.09.23 -
동기 vs 비동기
동기 vs 비동기 / 블로킹 vs 논블로킹에 관련해서 좋은 글을 찾게 되어서 공유하려고 합니다. https://jangpd007.tistory.com/70
2022.09.19 -
Chapter 6 - Interrupt/Trap & System call(2)
시스템 호출 처리 과정 시스템 호출이란 유저 레벨 응용 프로그램들에게 커널이 자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영체제의 기능이나 모듈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스템 콜을 사용해야 한다. 시스템 콜은 커널로의 진입점(Entry Point)라고 볼수 있다. 대표적으로 sys_fork(),sys_read()등이 있다 커널은 각 시스템 콜을 함수로(시스템 콜 핸들러) 구현해 놓고 각 시스템 콜이 호출되었을 때 헨들러를 호출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의 그림을 참고하면서) 유저 프로세스가 fork() 시스템 콜을 요청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표준 C 라이브러리의 fork()라는 함수가 호출된다. 이 함수는 사용자 대신에 트랩을 요청한다 이 라이브러리 함수는 CPU내의 범용 레지스터..
2022.09.19 -
Chapter 6 - Interrupt/Trap & System call(1)
인터럽트 인터럽트란 주변 장치와 커널이 통신하는 방식 중의 하나로,주변 장치나 CPU가 자신에게 발생한 사건을 리눅스 커널에게 알리는 매커니즘이다.외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이 도착했을음 알리기 위해,혹은 키보드가 눌렸음을 알리기 위해서 등 다양한 이유로 인터럽트가 발생된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Kernel은 어떠한 이유로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 살펴보고 인터럽트 핸들러를 호출해 작업을 처리해야 한다. 만약 네트워크 장치(LAN카드)로부터의 인터럽트라면 패킷을 수신하여 TCP/IP 스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키보드 인터럽트라면 어떤 키가 눌렸느지 확인하여 응용 S/W에게 전달해준다. 인터럽트는 외부 인터럽트와 트랩으로 나뉘게 된다. - 외부 인터럽트 : 주변장치에서 발생된 비동기적인 하드웨어 even..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