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232)
-
div & span 차이
div와 span에 대해서 간단하게 차이점을 알아보자. 예시코드 1 2 3 1 2 3 정리 오른쪽 결과를 보면 div와 span의 차이점을 알게된다. div,span 둘다 영역 태그이다. - div는 영역을 분할 하며, 컨테이너 역할도 한다. - span은 영역태그이며, 특정 아이템을 꾸밀떄 사용한다. block vs inline - div는 block level element이다.(전체공간, 세로배치, width&height 적용 가능) - span은 inline level element이다. (콘텐츠만큼, 가로배치, width&height 적용 불가)
2023.05.01 -
DDD 아키텍처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도메인이란? - DDD 아키텍처 - DIP 도메인이란 도메인이란 소프트웨어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영역을 의미한다. 온라인 서점으로 예를 들면 상품 조회, 구매, 결제, 배송등의 기능이 해당된다. 쉽게 이야기하면 기능별로 쪼갠다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네요 ㅎ Order라는 주문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기존의 서비스 로직에서 해당 로직들을 처리하는 프로세스와 다르게 주문 클래스에 비즈니스 로직을 위임함으로써 도메인에 종속된 로직들은 Order객체에 위임하고 있다. (DDD는 도메인 클래스에 연관된 로직을 넣는다는 느낌? ㅎㅎ) 기존 서비스 레이어에 로직을 실행하던 방식 public clas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OrderRepos..
2023.04.29 -
Path Variable vs Query Parameter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Path Variable - Query Paramter(String) - 각각 언제 사용해야 하는가? - 정리 Path Variable pathVariable은 url 경로에 변수를 포함하는 방식이다. User와 관련된 API를 설계해보자. GET .../users/11 -> id가 11인 유저 찾기 POST .../users ->유저 등록 PATCH .../users/11 ->id가 11인 유저 수정 DELETE .../users/11 ->id가 11인 유저 삭제 Query Parameter queryParamter는 url끝에 ?와 함께 ket-value쌍을 포함시키는 방식이다. 성별이 남자인 유저를 찾는 API를 설계해보자. GET .../users?sex=m..
2023.04.14 -
인텔리제이 - bitbucket 연동하기
상황 프로젝트 clone 받고 난 뒤 intellij를 실행하면 id, pw 입력하고 뜨는데 pw를 bitbucket 앱 비밀번호를 만들어야 함.. 나처럼 삽질 하지 마시길.. 1. bitbucket 접속 후 오른쪽 상단의 바퀴 버튼에서 Personal Bitbucket setting 들어간다. 2. 여기서 앱 비밀번호 선택 3. 앱 비밀번호 생성 후 해당 번호 복사해서 인텔리제이 pw 입력란에 하면 잘 로그인된다 ㅎㅎ
2023.04.10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9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 JS는 프로토타입 기반으로 상속을 구현하여 불필요한 중복을 제거한다. 다음 코드를 보자 아래 코드 실행 시 JS에서는 인스턴스 생성 시 동일한 메서드를 중복으로 생성하여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생성한다. function Circle(radius) { this.radius = radius; this.getArea = function () { return Math.PI * this.radius ** 2; } } const circle1 = new Circle(1); const circle2 = new Circle(2); /** * Circle 생성자 함수는 인스턴스 생성할 때마다 동일한 동작하는 getArea 메서드를 중복 생성하고 모든 인스턴스가 중복..
2023.04.10 -
9장 - 미들웨어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미들웨어 미들웨어 웹 개발에서 일반적으로 미들웨어라 함은 라우트 핸들러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기 전에 수행되는 컴포넌트를 말한다. 어떤 형태의 코드라도 수행할 수 있다 요청과 응답에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청/응답 주기를 끝낼 수 있다. 여러 개의 미들웨어를 사용한다면 next()로 호출 스택상 다음 미들웨어에 제어권을 전달한다. 미들웨어 활용성 쿠키 파싱 : 쿠키를 파싱하여 사용하기 쉬운 데이터 구조로 변경하여 라우터에게 넘겨준다. 이로 인해 라우터 핸들러는 매번 쿠키를 파싱할 필요가 없다. 세션 관리 : 세션 쿠키를 찾고, 해당 쿠키에 대한 세션의 상태를 조회해서 세션 정보를 추가한다. 인증/인가 :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근 가능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
2023.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