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232)
-
Just Keep Buying 리뷰
JUST KEEP BUYING 책을 읽고 리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 책은 1부, 2부로 나뉘어있으며, 1부는 저축 2부는 투자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핵심내용을 정리하자면 자산은 우상향 하게 되어 있으며 되도록 빠르게 투자를 하여라!(시간이 중요),자산군은 다양하게 있으며, 만약 주식을 할 경우 개별 주식보다는 인덱스 펀드를 추천하며 싸게 사려는 욕심을 부리지 말고 꾸준히 투자하여라!! 책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1부 - 저축]1. 가난한 사람은 저축을 하고, 부유한 사람은 투자를 한다. 2. 저축은 할 수 있는 만큼만 저축하여라 3. 만약 저축을 하게 된다면 몇 %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득이 많을 때는 많이 소득이 적을 때는 적게 유동적으로 비율을 조절하면서 ..
2024.11.28 -
트럼프 2.0 정부의 큰 그림
바이든 정부가 끝나가고 곧 있을 내년 트럼프 2.0 정부를 맞이하기 전에 트럼프 정부의 전체적인 큰 그림에 대해서 분석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침 좋은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시는 김광석 교수님의 영상이 있어서 하나씩 차근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이든 정부의 과도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국의 정권 교체가 발생하게 되었다. 임금대비 물가(생활비, 식재료 등..)가 너무 많이 오르게 되었음 2. 바이든 정부 때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국은 고금리 정책을 펼쳤는데 이로 인해 서민들은 임금대비 너무 많은 이자를 내게 됨 3. 트럼프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2024년 11월 5일 트럼프의 압도한 우세로 대선을 승리하게 되었음 4. 트럼프의 Agenda 47 공약 중 메인 이슈 중 하..
2024.11.12 -
재무부의 국채발행 프로세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재무부의 국채발행 프로세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재무부의 국채발행 프로세스재무부는 재정지출과 만기도래 상환을 위해 국채를 발행하고, 금융기관을 비롯한 다양한 시장 참여자들은 입찰 과정을 통해 재무부가 발행한 국채에 투자합니다. (이 과정은 복잡하지만 생략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재무부의 총 국채 발행액에서 만기도래액을 차감해 순발행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 총 발행액 - 만기도래액 = 순발행액 총 발행액에는 만기도래 상환을 위해 국채 발행이 포함되어 있고(롤오버), 이 부분은 재무부가 채권을 소유하고 있는 주체에게 만기 상환을 함으로써 다시 시장으로 유입되는 유동성입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만기도래액을 차감해 줌으로써 재무부가 시장에서 흡수하는 순유동성인 순발행액을 ..
2024.11.11 -
유동성의 흐름을 읽는 5가지 지표 - 5편 2024.11.11
-
베어 스티프닝과 불 스티프닝
베어 스티프닝베어(곰) 스티프닝 현상이란, 장기채(10년물) 금리가 단기채(2년물) 금리보다 더 빨리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채권 시장에서는 금리 상승을 약세장(Bear)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이 같은 명칭이 붙었습니다 😀😀 보통 베어 스티프닝은 경기가 과열되고 인플레이션 심화될 우려가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보통 경제사이클의 확장국면에서 나타납니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질 때 장기 금리가 상승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장기 채권에서 손실 볼 가능성이 높아져 장기 금리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불 스티프닝불 스티프닝(황소)은 2년물 단기채 금리가 10년물 장기채 금리보다 더 크게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2년물과 10년물 수익률이 모두 이는 보통 경제..
2024.11.11 -
땅 투자를 하기위한 기본 상식
어떠한 재테크를 하기 전에는 항상 공부를 하고 투자를 해야 합니다. 우리가 대학교 4년 동안 본인 전공공부를 열심히 하고 취업을 하는 것처럼 투자도 그에 준하게 공부를 하면서 병행해야 합니다. 저는 그래서 땅 투자에 요즘 관심이 많아서 땅 투자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혹시 저와 같이 땅투자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같이 공부해 나가시면 좋을 것 같네요 ㅎㅎ 그러면 땅투자를 하기 위한 기본 상식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1. 국토종합계획을 확인하여 투자할 지역을 선정한 후,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을 검토해야 한다. 2. 도시계획이 지정되어 있거나 인근 지역의 건출할 수 있는 땅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 방법이다. 3. 땅을 선정했다면 무작정 투자할 게 아니라 최소한 세 가지..
202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