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 탈출하기(33)
-
유동성의 흐름을 읽는 5가지 지표 - 2편
1편에 이어서.. 연준 대차대조표 항등식을 기억하시고 2편을 시작하겠습니다.△지준금 = △SOMA 계정 + △대출(유동성 지원 창구) - △역레포 계좌 - △재무부 TGA 먼저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22년 3월부터 유동성의 흐름을 보겠습니다. 22년 3월 연준이 본격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하자, 기준금리 레인지의 하단 역할을 하는 역레포 금리도 덩달아 인상되었습니다. 이에 시중의 유동성이 역레포 잔고로 집중되면서 유동성이 흡수되면서 지준금이 감소하고 역레포 잔고가 증가하게 됩니다. △지준금 ↓ = △SOMA 계정 + △대출(유동성 지원 창구) - △역레포 계좌 ↑ - △재무부 TGA 좀 더 구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연준의 기준금리 설정 프로세스를 이해해 보도록 합시다. 연준 기준금리 ..
2024.10.15 -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디스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하지만, "물가가 몇 % 이상 상승할 때 인플레이션이다"라는 명확한 기준은 없다. 반대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경기 불황 속에서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디플레이션이 높아짐), 호황 속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높아진다(디플레이션이 낮아짐) 물가 수준을 측정하는 물가지수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가계 등 일반인의 최종 소비시점에서의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소비자물가지수(Customer Price Index, CPI)가 가장 널리 쓰인다. 인플레이션 원인가격이 오르려면 수요가 증가하거나 공급이 줄어야 한다. 국민경제에서도 물가가 오르려면 총수요가 증가하거나 총공급이 감소해야 한다. 수요가 증대..
2024.10.15 -
유동성의 흐름을 읽는 5가지 지표 - 1편
무엇이 주가를 끌어올릴까? 에 대한 궁금증이 항상 생길 수밖에 없다. 물론 그 원인을 딱 잘라 말하기 쉽지는 않지만 내 생각에는 유동성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유동성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5가지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금부터 알려드릴 다섯 가지 지표는 모두 연준의 대차대조표를 구성하는 지표들입니다. 모두 유동성 환경에 영향을 주는 플레이어(연준, 시중은행, 재무부, MMF, 딜러, 사모펀드 등 금융기관)들과 관계가 있습니다. 하나씩 차근차근히 알아봅시다. 1. SOMA 계정(System Open Market Account)위 그림의 보라색선인 SOMA(System Open Market Account) 계정은 연준의 보유 증권을 관리하는 계좌로 주로 국채, MBS(모기지담보부 증권)등의 자..
2024.10.14 -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와 연준의 관계
이 글을 읽기 전에 채권에 대해서 모르신다면 채권에 대한 글을 보시고 오시면 더 이해가 잘 되실 겁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중앙은행이 단기 국채를 매도하고 장기 국채를 매입하여 장기 금리를 낮추고 단기 금리를 높이는 정책이다. 이 정책은 장기 금리를 낮추어 경제의 장기 대출 금리, 주택담보대출, 기업 대출 비용 등을 줄임으로써 경기 부양을 목표로 하는 정책이다. 1960년대에 88억 달러, 1960년대 초 미국 경제의 약 1.7%의 규모로 처음 실시됐으며, Fed가 만기 3년 미만의 국채를 매도하고 그 돈으로 6년~30년 장기 국채를 매입을 하여 추가적인 유동성 공급이 없는 상태(통화량의 변화 없이)에서 결국장기 국채 가격 상승, 장기 금리를 하락시키게 되는 효과를 일으켰다. -> 인플레이션을 ..
2024.10.10 -
연준(Fed) 이해하기 2편 2024.09.30
-
연준(Fed) 이해하기 1편
연방준비제도 연방준비제도(연준, Federal Reservce System)는 미국의 중앙은행(like 한국은행)으로 1913년 12월에 도입이 되었다. 연준의 목적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화, 물가 안정, 완고용의 유지, 장기적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것이다. 연준은 미국 경제와 금융 시스템의 중심에 위치하며 재무부 채권의 매입과 발행(공개시장조작), 지급준비율 결정, 특히 재할인율(중앙은행-시중은행 간 여신 금리) 등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주된 역할을 수행한다. 기준금리의 인상은 대출 비용을 높이고, 인하는 대출을 더 저렴하게 하여 이러한 변화를 통해 소비자와 기업의 대출 조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로써 경제 활동과 투자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연준은 미국 경제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총수요를..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