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Java)(85)
-
디자인 패턴을 왜 써야할까?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디자인 패턴이란?- 디자인 패턴의 역사(기원)- 디자인 패턴을 왜 써야 하는가?- 디자인 패턴 사용의 장단점- 디자인 원칙- 디자인 패턴의 유형 디자인 패턴이란? 디자인 패턴이란 이전의 개발자들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유사한 문제를 발견하였고, 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반복 작업을 공통화 것이다. 그래서 이전 선배 개발자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모은 것이 Desing Pattern이다. 디자인 패턴 = 디자인(= 설계, 구조) + 패턴(= 많은 개발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조)이다. 디자인 패턴의 기원 디자인 패턴은 건축 분야에서 비롯되었다. 건축가이자 패턴의 아버지, Christopher Alexander는 "각 디자인 패턴은 기존 환경 내에서 반복적으로 일어..
2022.10.10 -
1.스프링 배치 소개 및 프로젝트 구성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스프링 배치 탄생 배경 - 배치 핵심 패턴 - 배치 시나리오 - 배치 프로젝트 구성 - 배치 초기화 설정 클래스 실무에서 Spring Batch를 사용할 일이 생겨서 스프링 배치 공부하려고 인프런에서 아래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B%B0%B0%EC%B9%98/dashboard 그래서 제가 다시 보기 위해 정리하려고 시리즈 글을 쓸려고 합니다. 😁😁(혹시나 Batch 공부하실 분들은 위 강의 추천합니다! ) 스프링 배치 탄생 배경 - 자바 기반 표준 배치 기술 부재 - 배치 처리에서 요구하는 재사용 가능한 자바 기반 배치 아키텍처 표준의 필요성 대두 - 스프..
2022.09.27 -
JdbcSQLSyntaxErrorException: Column "start_value" not found 에러 해결법
h2 db에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던 중 JdbcSQLSyntaxErrorException: Column "start_value" not found 에러가 발생하였다. 응? 분명히 이전까지는 잘 되었는데.. 생각해보니 application.yml파일의 ddl-auto를 create -> update로 변경하니 위의 에러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래서 찾아보니 hibernate.dialect 설정과 ddl-auto 설정 등 여러 가지 해결방법이 있었는데 ddl-auto를 update -> none으로 바꿔서 실행하니 잘 해결되었다. 혹시 이 방법으로도 해결 안되면 아래 참고자료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참고자료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4615730/how-to-f..
2022.09.18 -
javax.Transactional vs spring.Transactional
문득 @Transca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다가 문득 아래 임포트한 라이브러리들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다. import javax.transaction.Transactional; VS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2022.09.17 -
추상클래스 vs 인터페이스
✅ 아래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 추상클래스란? - 추상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 - 추상클래스 사용방법 - 인터페이스란? -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유 - 인터페이스 사용방법 추상클래스란 추상 클래스란 A, B, C 클래스들 간에 비슷한 필드와 메서드를 공통적으로 추출해 만들어진 클래스이다. 자동차 클래스로 예를 들면 자동차 제조사마다 디자인, 모양, 크기 등은 다르겠지만 엑셀, 브레이크, 핸들, 와이퍼 등의 공통적인 기능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통적인 기능(추상 메서드)을 추상 클래스 안에서 관리하게 된다. 실제 BMW, 기아, 현대자동차들이 실체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실체클래스는 실제 객체를 생성할 수 있고 구체적이지만 추상클래스는 실체 클래스의 공통적인 부분을 추출해 규격을 잡아놓은 클래스이고 ..
2022.09.01 -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
✅ 자바의 메서드 매개변수 전달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바를 공부하던 도중에 자바에서 메서드 매개변수 전달 방식에 대해서 궁금하게 되었다. 자바는 call by value인가 아니면 call by reference인가? 먼저 call by value에 대해서 부터 알아보자! 위키피디아 정의에 따르면 Call-by-value In call-by-value, the argument expression is evaluated, and the resulting value is bound to the corresponding variable in the function (frequently by copying the value into a new memory region). If the function or p..
2022.08.22